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1991-9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1991-92 시즌은 20개 팀이 참가하여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두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각 토너먼트 우승팀은 1993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권을 놓고 플레이오프를 치렀으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남은 출전권을 결정하기 위해 8팀 녹아웃 라운드가 진행되었다. 아페르투라에서는 리버 플레이트가, 클라우수라에서는 뉴웰스 올드 보이스가 우승했다. 리버 플레이트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플레이오프에서 뉴웰스 올드 보이스를 꺾고 진출권을 획득했다. 우니온 데 산타페와 킬메스 AC는 강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92 축구 리그 - 분데스리가 1991-92
독일 통일 후 20개 팀이 참가한 분데스리가 1991-92 시즌에서는 VfB 슈투트가르트가 우승하고 프리츠 발터가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동독 리그에서 합류한 팀들은 적응에 어려움을 겪었다.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시즌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1998-99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1998-99 시즌은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로 나뉘어 보카 주니어스가 모두 우승했으며, 보카 주니어스의 더블 우승으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플레이오프가 진행되어 리버 플레이트가 출전권을 획득하고 플라텐세와 우라칸이 강등되었다.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시즌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2003-04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2003-04 시즌은 전기 리그인 아페르투라에서 보카 주니어스가, 후기 리그인 클라우수라에서 리버 플레이트가 우승했으며, 시즌 종료 후 차카리타 주니어스, 누에바 시카고가 강등, 아틀레티코 라파엘라, 탈레레스 데 코르도바는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여 강등되었다. - 아르헨티나 축구에 관한 -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는 1893년 설립되어 아르헨티나 축구를 관장하는 최고 기관으로, 대표팀 운영, 선수 육성, 리그 운영에 관여하며,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아르헨티나 축구의 국제적 성공에 기여해왔다. - 아르헨티나 축구에 관한 - CA 우라칸
클럽 아틀레티코 우라칸은 1903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창단되어 항공 개척자의 기구에서 영감을 얻은 이름과 유니폼을 사용하며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활동, 아마추어 시대 황금기와 '메노티 혁명' 시대를 거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결승에 진출하기도 했으나 재정난 등으로 부침을 겪었고, 코파 아르헨티나 우승와 프리메라 디비시온 승격으로 부활했으며 CA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와 중요한 라이벌 관계를 가진 축구 클럽이다.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1991-92 | |
---|---|
대회 정보 | |
대회 | 프리메라 디비시온 |
시즌 | 1991–92 |
기간 | 1991년 9월 10일 – 1992년 7월 5일 |
결과 | |
전기 리그 우승 | 리베르 플레이트 (23번째 우승) |
후기 리그 우승 | 뉴얼스 올드 보이스 (4번째 우승) |
승격 | 해당 사항 없음 |
강등 | 해당 사항 없음 |
대륙 대회 진출 |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93 | 뉴얼스 올드 보이스 리베르 플레이트 |
코파 CONMEBOL 1992 | 보카 주니어스 힘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LP 벨레스 사르스피엘드 |
시즌 통계 | |
리그 득점왕 | 해당 사항 없음 |
최다 홈 승리 | 해당 사항 없음 |
최다 어웨이 승리 | 해당 사항 없음 |
최고 득점 경기 | 해당 사항 없음 |
시즌 정보 | |
이전 시즌 | 1990–91 |
다음 시즌 | 1992–93 |
총 경기 수 | 380 |
총 득점 | 해당 사항 없음 |
경기당 평균 득점 | 해당 사항 없음 |
전기 리그 득점왕 | 라몬 디아스 (14골) |
후기 리그 득점왕 | 디에고 라토레 (9골) 다리오 스콧 (9골) |
최다 연승 | 해당 사항 없음 |
최다 무패 | 해당 사항 없음 |
최다 무승 | 해당 사항 없음 |
최다 연패 | 해당 사항 없음 |
최고 관중 | 해당 사항 없음 |
최저 관중 | 해당 사항 없음 |
총 관중 | 해당 사항 없음 |
평균 관중 | 해당 사항 없음 |
2. 대회 형식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1991-92 시즌은 20개 팀이 참가하여 아페르투라(Apertura)와 클라우수라(Clausura)라는 두 개의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2] 각 토너먼트는 싱글 라운드 로빈(각 팀이 다른 모든 팀과 한 번씩 경기) 방식으로 진행되었다.[2] 각 토너먼트 우승팀은 1993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권을 놓고 플레이오프를 치렀다.[2]
1991년 8월 29일부터 12월 22일까지 아페르투라 토너먼트가 진행되었다. 리버 플레이트가 통산 24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3] 라몬 디아스 (리버 플레이트)가 14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남은 출전권을 결정하기 위해, "아페르투라" 토너먼트의 4개 준우승팀과 "클라우수라" 토너먼트의 4개 준우승팀 (이미 "아페르투라" 토너먼트에서 자격을 얻지 못한 팀)이 8팀 녹아웃 라운드에서 경쟁했다.[2] 우승팀은 2차전 예선전의 패배팀과 경기를 치러 1993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출전권을 얻었다.[2] 패배팀과 8팀 녹아웃 라운드의 결승 진출팀 및 최고의 준결승 진출팀은 1992 코파 CONMEBOL에 참가했다.[2]
강등은 클라우수라 단계가 끝날 때 발생했으며, 3년 평균 승점이 가장 낮은 두 팀 (프리메라 디비시온 경기만 해당)이 프리메라 B 나시오날로 강등되었다.[2] CA 차코 포르 에베르와 CA 라누스가 강등되었고, 프리메라 B 나시오날에서 키르메스 AC와 CA 벨그라노가 승격하여 팀 수는 20개로 유지되었다.[2]
3. 아페르투라 토너먼트
선수 득점 소속 라몬 디아스 14 리버 플레이트 에스테반 곤살레스 11 벨레스 사르스필드 우고 게라 8 히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라 플라타 다비드 비스콘티 7 로사리오 센트랄 로베르토 카바냐스 7 보카 주니어스 후안 루이스 디아스 7 타예레스 세르히오 사투르노 7 우라칸
== 아페르투라 순위표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 실 득실 1 리버 플레이트 31 19 14 3 2 33 11 +22 2 보카 주니어스 24 19 7 10 2 22 11 +7 3 산로렌소 22 19 4 14 1 20 14 +6 4 벨레스 사르스필드 21 19 8 5 6 27 11 +9 5 힘나시아 라 플라타 21 19 7 7 5 16 17 -1 6 데포르티보 만디주 20 19 7 6 6 22 11 +2 7 플라텐세 20 19 5 10 4 16 14 +2 8 타예레스 20 19 7 6 6 19 11 -2 9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19 19 4 11 4 18 18 0 10 클루브 페로 카릴 오에스테 19 19 6 7 6 16 11 0 11 인데펜디엔테 19 19 6 7 6 20 21 -1 12 우라칸 19 19 5 9 5 18 11 -3 13 라싱 클럽 18 19 4 10 5 14 14 0 14 데포르티보 에스파뇰 18 19 6 6 7 23 11 -2 15 벨그라노 17 19 3 11 5 15 17 -2 16 CA 로사리오 센트랄 17 19 4 9 6 17 11 -4 17 에스투디안테스 라 플라타 16 19 4 8 7 14 21 -7 18 뉴웰스 올드 보이스 15 19 3 9 7 14 11 -2 19 우니온 데 산타페 14 19 3 8 8 13 21 -8 20 킬메스 AC 10 19 1 8 10 9 11 -16 리기야 프레리베르타도레스 참가. 옥토고날 참가.
3. 1. 아페르투라 순위표
wikitable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
1 리버 플레이트 | 31 | 19 | 14 | 3 | 2 | 33 | 11 | +22 |
2 보카 주니어스 | 24 | 19 | 7 | 10 | 2 | 22 | 11 | +7 |
3 산로렌소 | 22 | 19 | 4 | 14 | 1 | 20 | 14 | +6 |
4 벨레스 사르스필드 | 21 | 19 | 8 | 5 | 6 | 27 | 11 | +9 |
5 힘나시아 라 플라타 | 21 | 19 | 7 | 7 | 5 | 16 | 17 | -1 |
6 텍스틸 만디주 | 20 | 19 | 7 | 6 | 6 | 22 | 11 | +2 |
7 CA 플라텐세 | 20 | 19 | 5 | 10 | 4 | 16 | 14 | +2 |
8 CA 타예레스 | 20 | 19 | 7 | 6 | 6 | 19 | 11 | -2 |
9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19 | 19 | 4 | 11 | 4 | 18 | 18 | 0 |
10 페로 카릴 오에스테 | 19 | 19 | 6 | 7 | 6 | 16 | 11 | 0 |
11 인데펜디엔테 | 19 | 19 | 6 | 7 | 6 | 20 | 21 | -1 |
12 우라칸 | 19 | 19 | 5 | 9 | 5 | 18 | 11 | -3 |
13 라싱 클럽 | 18 | 19 | 4 | 10 | 5 | 14 | 14 | 0 |
14 데포르티보 에스파뇰 | 18 | 19 | 6 | 6 | 7 | 23 | 11 | -2 |
15 CA 벨그라노 | 17 | 19 | 3 | 11 | 5 | 15 | 17 | -2 |
16 로사리오 센트랄 | 17 | 19 | 4 | 9 | 6 | 17 | 11 | -4 |
17 에스투디안테스 라 플라타 | 16 | 19 | 4 | 8 | 7 | 14 | 21 | -7 |
18 뉴얼스 올드 보이스 | 15 | 19 | 3 | 9 | 7 | 14 | 11 | -2 |
19 우니온 데 산타페 | 14 | 19 | 3 | 8 | 8 | 13 | 21 | -8 |
20 킬메스 AC | 10 | 19 | 1 | 8 | 10 | 9 | 11 | -16 |
리기야 프레리베르타도레스 참가. | |
옥토고날 참가. |
4. 클라우수라 토너먼트
1992년 2월 21일부터 7월 5일까지 진행되었다. 뉴웰스 올드 보이스가 통산 4회 우승을 차지했다.[4] 디에고 라토레(보카 주니어스)와 다리오 스코토(CA 플라텐세)가 9골로 공동 득점왕을 차지했다.
선수 | 득점 | 팀 | |
---|---|---|---|
디에고 라토레 | 9 | 보카 주니어스 | |
다리오 스콧 | 9 | CA 플라텐세 | |
에스테반 곤잘레스 | 8 |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 |
마르셀로 카비글리아 | 7 | 데포르티보 에스파뇰 | |
호르헤 크루스 크루스 | 7 | CA 우라칸 | |
우고 게라 | 7 | 히무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LP | |
펠릭스 토레스 | 7 |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 플라타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
1 뉴웰스 올드 보이스 | 29 | 19 | 11 | 7 | 1 | 27 | 8 | +19 |
2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 27 | 19 | 10 | 7 | 2 | 29 | 8 | +13 |
3 데포르티보 에스파뇰 | 27 | 19 | 9 | 9 | 1 | 24 | 11 | +13 |
4 보카 주니어스 | 26 | 19 | 10 | 6 | 3 | 20 | 8 | +9 |
5 CA 리버 플레이트 | 24 | 19 | 8 | 8 | 3 | 31 | 22 | +9 |
18 데포르티보 만디유 | 13 | 19 | 3 | 7 | 9 | 16 | 8 | -14 |
19 CA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 | 12 | 19 | 3 | 6 | 10 | 11 | 25 | -14 |
20 킬메스 AC | 9[5] | 19 | 4 | 3 | 12 | 14 | 8 | -18 |
리기야 프레리베르타도레스 참가. | |
옥토고날 참가. |
4. 1. 클라우수라 순위표
wikitable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
1 뉴얼스 올드 보이스 | 29 | 19 | 11 | 7 | 1 | 27 | 8 | +19 |
2 벨레스 사르스필드 | 27 | 19 | 10 | 7 | 2 | 29 | 8 | +13 |
3 데포르티보 에스파뇰 | 27 | 19 | 9 | 9 | 1 | 24 | 11 | +13 |
4 보카 주니어스 | 26 | 19 | 10 | 6 | 3 | 20 | 8 | +9 |
5 리버 플레이트 | 24 | 19 | 8 | 8 | 3 | 31 | 22 | +9 |
18 텍스틸 만디주 | 13 | 19 | 3 | 7 | 9 | 16 | 8 | -14 |
19 산로렌소 | 12 | 19 | 3 | 6 | 10 | 11 | 25 | -14 |
20 킬메스 AC | 9[5] | 19 | 4 | 3 | 12 | 14 | 8 | -18 |
리기야 프레리베르타도레스 참가. | |
옥토고날 참가. |
'''뉴얼스 올드 보이스 우승!'''
5.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플레이오프
아페르투라 우승팀인 리버 플레이트는 1993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출전권을 놓고 클라우수라 우승팀인 뉴웰스 올드 보이스와 대결했다. 리버 플레이트는 세 경기 중 두 경기를 승리하여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했다.
날짜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경기장 | 주심 |
---|---|---|---|---|---|
1992년 7월 12일 | 뉴웰스 올드 보이스 | 0 - 0 | 리버 플레이트 | 에스타디오 히간테 데 아로요, 로사리오 | 후안 C. 크레스피 |
1992년 7월 19일 | 리버 플레이트 | 1 - 0 | 뉴웰스 올드 보이스 | 에스타디오 모누멘탈, 부에노스 아이레스 | 프란시스코 라몰리나 |
1992년 7월 26일 | 리버 플레이트 | 3 - 2 | 뉴웰스 올드 보이스 |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데 코르도바, 코르도바 | 후안 C. 루스토 |
1993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로 가는 두 번째 예선은 1992년 7월 10일에 시작하여 1992년 7월 26일에 종료되었다. 8개 팀이 홈 앤 어웨이 경기로 직접 토너먼트 녹아웃 방식으로 경쟁했으며, 우승 팀은 첫 번째 예선에서 패배한 팀과 맞붙었다. 이 예선에서 패배한 팀과 녹아웃 라운드에서 상위 두 팀은 1992년 코파 CONMEBOL에 진출했다.
{{8강전
|7월 12일 - 엘 팔라시오|'''보카 주니어스'''|'''2'''|산 로렌소|0
|7월 12일 - 엘 도블레 비세라|플라텐세|0|'''히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LP)'''|'''1'''
|7월 12일 - 리카르도 에체베리|'''벨레스 사르스필드'''|'''1''' |우라칸|0
|7월 10일 - 엘 팔라시오|'''데포르티보 에스파뇰'''|'''1'''|레이싱|0
|7월 18일 - 호세 아말피타니 |보카 주니어스|0|'''히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LP)'''|'''1'''
|7월 19일 - 리카르도 에체베리|'''벨레스 사르스필드'''|1 (4)|데포르티보 에스파뇰|1 (2)
|7월 26일 - 모누멘탈|'''벨레스 사르스필드'''|'''3'''|히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LP)|0
}}
5. 1. 리기야 프레리베르타도레스
아페르투라 우승 팀인 리버 플레이트와 클라우수라 우승 팀인 뉴얼스 올드 보이스가 1993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권을 놓고 경기를 가졌다. 리버 플레이트는 세 경기 중 두 경기를 승리(2승 1무)하여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권을 획득했다.날짜 | 홈팀 | 득점 | 원정팀 | 경기장 | |
---|---|---|---|---|---|
6월 12일 | 뉴얼스 올드 보이스 | 0 - 0 | 리버 플레이트 | 히간테 데 아로요 | |
6월 19일 | 리버 플레이트 | 1 - 0 | 뉴얼스 올드 보이스 | 모누멘탈 | |
6월 26일 | 리버 플레이트 | 3 - 2 | 뉴얼스 올드 보이스 | 올림피코 데 코르도바 | |
리버 플레이트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93에 진출함. |
5. 2. 옥토고날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순위표에서 각각 상위 4팀(이미 진출권을 획득한 리버 플레이트와 뉴얼스 올드 보이스 제외)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추가 진출권과 코파 CONMEBOL 진출권을 놓고 옥토고날 토너먼트를 진행했다. 옥토고날에서는 벨레스 사르스필드가 우승하였으나,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권을 위한 뉴얼스 올드 보이스와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패배하였다.플레이오프에서는 1992년 8월 2일 로사리오의 히간테 데 아로요 경기장에서 뉴얼스 올드 보이스가 훌리오 살다냐의 골로 벨레스 사르스필드를 1:0으로 이겼다. 이 경기에서 뉴얼스 올드 보이스는 카를로스 피체르니 감독 지휘 하에, 노르베르토 스코포니, 훌리오 살다냐, 페르난도 갬보아, 마우리시오 포체티노, 에두아르도 베리소, 알프레도 베르티, 후안 마누엘 요프, 헤라르도 마르티노, 후안 J. 로시 (크리스티안 도미치와 교체), 훌리오 사모라, 리카르도 루나리 (파비안 가르파뇰리와 교체)가 출전했다. 벨레스 사르스필드는 에두아르도 루한 마네라 감독 지휘 하에, 호세 루이스 칠라베르트, 오라시오 비데비치, 호세 알만도스, 로베르토 트로타, 라울 카르도소, 카를로스 콤파뉴치 (캄포스와 교체), 알레한드로 만쿠소, 크리스티안 바세다스, 노르베르토 오르테가 산체스, 리카르도 가레카, 호세 O. 플로레스가 출전했다.
결과적으로 뉴얼스 올드 보이스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93 진출권을 획득했다. 벨레스 사르스필드, 힘나시아 라 플라타, 데포르티보 에스파뇰(보카 주니어스의 기권으로 대신 출전)이 코파 CONMEBOL 1992에 진출했다.
6. 승강
우니온 데 산타페와 킬메스 AC는 3년 평균 승점 순위에서 최하위를 기록하여 프리메라 B 나시오날로 강등되었다.[6]
팀 | 89/90 | 90/91 | 91/92 | 총승점 | 경기수 | 평균승률 |
---|---|---|---|---|---|---|
19 우니온 데 산타페 | 36 | 31 | 27 | 94 | 114 | 0.825 |
20 킬메스 AC | 0 | 0 | 19 | 19 | 38 | 0.500 |
참조
[1]
웹사이트
Argentina 1991–92
https://www.rsssf.or[...]
RSSSF.com
[2]
웹사이트
Argentina - Clubs and List of Divisional Movements 1931-2006
http://www.rsssf.com[...]
RSSSF
2022-05-08
[3]
웹사이트
Argentina 1991/92
http://www.rsssf.com[...]
RSSSF
2022-05-08
[4]
웹사이트
Argentina 1991/92
http://www.rsssf.com[...]
RSSSF
2022-05-08
[5]
문서
승점 2점 삭감.
[6]
문서
이 당시 나시오날 B의 플레이오프 레두시도(Torneo Reducido)의 방식은 꽤 특이했다. 시즌 순위 2위부터 10위까지 참가하였는데, 거기에 하위리그인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프리메라 B]]의 우승 팀인 [[이투사잉고]]와 토르네오 델 인테리오르 북서지구와 남동지구 우승 팀인 [[아르세날 데 사란디]]와 [[힘나시아 이 티로]]가 플레이오프에 참여했던 것이다. 우선 4위부터 10위까지 일곱 팀과 이 세팀이 참가하는 플레이오프 1라운드를 벌여 다섯 팀을 추리고, 거기에 리그 3위팀인 [[콜론 산타페]]가 참여해 2라운드를 진행했다. 그리고 각 경기 승자 세 팀과 리그 2위팀이었던 [[알미란테 브라운]]이 참가하는 준결승을 거쳤는데, 결승전까지 오른 [[산마르틴 투쿠만]]이 결국 2차 승격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